[하루 한 종목 분석]
AI 다음은 무엇일까? 답은 ‘양자컴퓨팅’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. 그리고 그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앞서 나아가는 소수의 기업 중 하나가 **리게티 컴퓨팅(Rigetti Computing, 티커: RGTI)**입니다.
이 기업은 양자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하며, 미국 정부의 양자 전략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 차세대 기술 기업입니다.
1. 기업 개요: 실리콘 밸리의 양자 스타트업
Rigetti는 2013년 전직 IBM 양자연구원 **채드 리게티(Chad Rigetti)**가 설립한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의 스타트업입니다.
특징적인 점은, **양자칩(퀀텀 프로세서)**부터 **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서비스(QCS)**까지 엔드 투 엔드 시스템을 직접 설계하고 운영한다는 점입니다.
주요 기술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Aspen 시리즈 프로세서: 초전도 큐비트 기반 자체 양자칩 (최신 Aspen-M은 84 큐비트 구성)
- QCS(Quantum Cloud Services): 양자 컴퓨팅 접근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
- Fab-1: 미국 내 유일한 민간 양자칩 생산 공장 보유
2. 실적 및 기술 발전 상황
2023년 4분기 실적 요약
- 매출: $3.2M
- 순손실: 약 $18.8M
- R&D 비용: 총 지출의 약 60%
- 현금 보유액: 약 $105M (2023년 말 기준)
비즈니스 모델이 아직 수익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적자가 계속되고 있지만, 미 국방부(DOD), 에너지부(DOE), NASA 등과의 계약을 통해 기술 신뢰도는 계속 상승 중입니다.

3. 주가 흐름과 투자자 심리
- 상장 방식: 2022년 SPAC 합병을 통해 나스닥 상장
- 상장 초기 주가: $10 전후
- 2023년 평균 주가: $1~2
- 2024년 현재 주가: $1.3~1.5 수준
양자라는 테마의 기대치에 비해 주가는 저조합니다. 이유는 상용화 지연, 고정비 부담, 시장 신뢰 회복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그러나 국가 전략 기술로서의 포지셔닝, 그리고 미국 내 유일한 상장 순수 양자 기업이라는 상징성은 여전히 강력합니다.
4. 향후 전망과 리스크 요인
✅ 기회 요인
- 양자우위(Quantum Advantage) 실현 시 시장 전환 가속
- 정부 계약 확대 및 장기 R&D 펀딩 확보 가능성
- 구글, IBM과 차별화된 독자적 하드웨어 생산 역량
⚠️ 리스크 요인
- 상용화까지 기술적 난이도 매우 높음
- 수익화 모델 부재
- 양자 생태계 전반의 성숙도 부족
리게티는 **“2030년 이전 양자우위 실현”**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으며, 2025년까지 1000 큐비트 이상의 양자 프로세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이 시점부터는 클래식 슈퍼컴퓨터와의 비교에서 본격적인 우위 가능성이 열릴 수 있습니다.
5. 정리하며: 리게티는 지금의 엔비디아가 될 수 있을까
2020년의 엔비디아가 AI 시대를 준비하고 있었다면, 리게티는 지금 양자 시대의 초입에 서 있는 기업입니다.
단기 성과보다는 기술 축적, 정부 계약, 생태계 참여자 확보가 관건이며,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대표적인 미래 기술주입니다.
“양자컴퓨터는 아직 멀었다”는 말이 나오는 지금이야말로, 가장 싸게 미래를 살 수 있는 순간일지도 모릅니다.
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, 모든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